본문 바로가기
일상

요즘 결혼식 축의금 트렌드, 관계 따라 얼마 낼까?

by 시-몬 2025. 3. 9.

최근 몇 년 사이 결혼식 비용이 크게 증가하면서 축의금 금액도 함께 올라가는 추세입니다. 특히, 결혼식장 뷔페 식대가 평균적으로 5만 원을 넘어가면서 기존의 5만 원 축의금은 적절하지 않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관계에 따른 적절한 축의금 금액을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축의금은 단순한 돈이 아니라 신랑·신부의 새로운 출발을 축하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금액을 정할 때는 상대방과의 관계, 사회적 분위기, 개인적인 경제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4년 현재 결혼식 축의금의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여 관계별 적절한 금액을 안내해 드립니다.

결혼식 웨딩 사진
r

 

1. 친구와 지인의 결혼식 축의금 기준

친구나 지인의 결혼식에 참석할 때는 최소 7만 원 이상을 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과거에는 5만 원이 보편적인 금액이었지만, 현재는 식대와 물가 상승을 고려해 7만~10만 원이 기본 금액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일반적인 친구: 7만 원
  • 가까운 친구: 10만 원~15만 원
  • 베스트 프렌드: 15만 원~20만 원 이상

7만 원이 새로운 기본 금액: 현재 결혼식 식대가 5만 원 이상이므로, 최소 7만 원을 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0만 원 이상이면 성의 표시: 정말 친한 친구라면 10만 원 이상이 적절하며, 평소 많은 도움을 받았다면 15만 원 이상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20만 원 이상은 특별한 경우: 신랑·신부와 각별한 관계이거나, 결혼식에서 중요한 역할(축사, 사회, 들러리 등)을 맡았다면 20만 원 이상을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 참석하지 못할 경우:

  • 관계가 가깝지 않다면 5만 원
  • 친한 친구라면 7만~10만 원

2. 직장 동료 및 상사의 결혼식 축의금

직장 내에서는 축의금 금액이 관계와 직급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인 동료라면 7만~10만 원이 적절하며, 상사라면 최소 15만 원 이상을 고려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 일반적인 직장 동료: 7만 원~10만 원
  • 같은 팀 동료 또는 친한 선후배: 10만 원~15만 원
  • 직속 상사 또는 팀장: 15만 원~20만 원
  • 회사 대표나 임원: 30만 원 이상

일반적인 경우 7~10만 원: 같은 회사지만 평소 친하지 않다면 7만 원 정도가 적당합니다.

자주 왕래하는 동료라면 10만 원 이상: 점심을 자주 같이 먹거나 친한 사이라면 최소 10만 원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사나 팀장급은 15만 원 이상: 평소 많은 도움을 받은 직속 상사라면 15만~20만 원 정도를 내는 것이 예의입니다.

고위직 결혼식에서는 30만 원 이상도 가능: 부서원들이 함께 모아 전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참석하지 못할 경우:

  • 일반적인 동료라면 5만~7만 원
  • 친한 동료라면 10만 원

3. 가족 및 친척 결혼식 축의금

가족이나 친척의 결혼식에서는 일반적인 축의금보다 더 넉넉하게 준비하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관계가 가까울수록 금액이 높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부모님과 함께 축의금을 준비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사촌 또는 먼 친척: 10만 원~20만 원
  • 조카 또는 조카뻘 친척: 30만 원~50만 원
  • 형제자매: 50만 원~100만 원 이상

사촌·삼촌 등의 경우 10~20만 원: 가족이지만 가까운 사이가 아니라면 10만 원 정도가 적절합니다.

조카 결혼식에는 30~50만 원 이상: 부모님과 함께 주는 경우가 많아 50만 원 이상을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형제자매 결혼식에서는 50만 원 이상: 가족끼리는 보통 금액을 크게 준비하며, 100만 원 이상 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 참석하지 못할 경우:

  • 먼 친척이라면 10만 원
  • 가까운 친척이라면 20만 원 이상

4. 축의금을 전달할 때의 예절

깨끗한 신권 준비: 축의금 봉투에는 신권을 넣는 것이 기본 예절입니다. 은행에서 미리 교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봉투에 이름과 금액 기재: 봉투에 자신의 이름을 정성스럽게 쓰고, 금액도 함께 기재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바일 송금도 가능: 최근에는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 모바일 송금으로 축의금을 전달하는 것도 자연스러운 문화로 자리 잡았습니다.

5. 결론: 관계에 따라 적절한 금액 선택이 중요

결혼식 축의금은 단순한 돈이 아니라, 축하의 마음을 전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최근 결혼식 식대 상승을 고려해, 관계별로 최소 7만 원 이상을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친구는 7만 원 이상

직장 동료는 7만~10만 원

상사는 15만 원 이상

가족은 10만 원 이상

적절한 축의금을 준비해, 신랑·신부에게 진심 어린 축하를 전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