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2025 신혼부부 전세대출 TOP6 비교! 전세대출 vs 매매대출

by 시-몬 2025. 2. 12.

 


1.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대출 (2025년 기준) - 전세에 적합

  • 대출 대상: 혼인 기간 7년 이내 또는 3개월 이내 결혼 예정인 무주택 세대주, 부부 합산 연소득 7,500만 원 이하, 순자산 가액 3.37억원 이하
  • 대출 한도: 수도권 최대 3억 원, 수도권 외 지역 최대 2억 원
  • 대출 금리: 연 1.7%~3.1% (소득 및 전세보증금에 따라 차등 적용)
  • 대출 기간: 2년 (최대 10년 연장 가능)
  • 대출 기관: 주택도시기금(국토교통부), 시중은행


2. 신혼부부 전용 주택구입자금대출 (2025년 기준) - 주택 매매에 적합

  • 대출 대상: 혼인 기간 7년 이내 또는 3개월 이내 결혼 예정인 무주택 세대주, 부부 합산 연소득 8,500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4.88억원 이하
  • 대출 한도: 최대 4억 원
  • 대출 금리: 연 2.35%부터 (소득 수준과 대출 금액에 따라 차등 적용)
  • 대출 기간: 10년, 15년, 20년, 30년 중 선택 가능
  • 대출 기관: 주택도시기금(국토교통부), 시중은행


3.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 (2025년 기준) - 주택 매매에 적합

  • 대출 대상: 부부 합산 연소득 6,000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순자산 가액 4.88억원 이하
  • 대출 한도: 일반 가구 최대 2억 5천만 원 (생애최초 3억원, 신혼•2자녀 이상 4억원)
  • 대출 금리: 연 2.65%부터 (소득 수준 및 대출 기간에 따라 차등 적용)
  • 대출 기간: 10년, 15년, 20년, 30년 중 선택 가능
  • 대출 기관: 주택도시기금(국토교통부), 시중은행


4. 신혼희망타운 전용 모기지 대출 (2025년 기준) - 신혼부부 맞춤형 대출

  • 대출 대상: 신혼희망타운에 입주하는 신혼부부 및 예비 신혼부부
  • 대출 한도: 주택가격의 70% 이내 (최대 4억 원)
  • 대출 금리: 연 1.6%(고정)
  • 대출 기간: 20년, 30년 중 선택 가능
  • 대출 기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시중은행


5.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2025년 기준) - 전세에 적합

  • 대출 대상: 무주택 세대주로 부부 합산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3.37억원 이하
  • 대출 한도: 수도권 최대 1.2억 원, 지방 최대 0.8억 원(신혼•2자녀 이상 수도권 3억원, 수도권 외 2억원)
  • 대출 금리: 연 2.3%~3.3% (소득과 보증금에 따라 차등 적용)
  • 대출 기간: 기본 2년 (최대 10년 연장 가능)
  • 대출 기관: 주택도시기금(국토교통부), 시중은행


6. 서울시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지원사업 (2025년 기준) - 전세에 적합

  • 대출 대상: 서울시 거주 신혼부부, 1개월 이내 서울 전입 예정자 (혼인신고 후 7년 이내 또는 결혼 예정자)
  • 대출 한도: 최대 3억 원 (임차보증금의 90% 이내)
  • 대출 금리: 연 1.0%~3.0% (소득과 대출 조건에 따라 차등 적용)
  • 대출 기간: 기본 2년 (최대 10년 연장 가능)
  • 대출 기관: 서울시, 협약된 시중은행


Bonus. 연소득 초과 시 선택할 수 있는 대출 상품

  • 보금자리론: 부부 합산 연소득 1억 원 이하, 고정금리로 장기 대출 가능.
  • 적격대출: 연소득 제한이 없으며, 고정금리 또는 변동금리 선택 가능, 최대 9억 원 주택 구매 가능.
  • 일반 전세자금 대출: 신용등급에 따라 시중은행에서 제공하는 일반 전세자금 대출 이용 가능.

이러한 대출 상품은 신혼부부 전용 대출이 아니지만, 일정한 조건을 충족하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각 금융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한눈에 보는 신혼부부 대출 비교표

대출 상품 대상 한도 금리 기간 대출 기관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대출 혼인 7년 이내, 연소득 7,500만 원 이하 수도권 3억 원, 비수도권 2억 원 연 1.7~3.1% 2년 (최대 10년 연장) 주택도시기금, 시중은행
신혼부부 전용 주택구입자금대출 혼인 7년 이내, 연소득 8,500만 원 이하 최대 4억 원 연 2.35%~ 10~30년 선택 가능 주택도시기금, 시중은행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 연소득 6,000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일반 2.5억 원 연 2.65%~ 10~30년 선택 가능 주택도시기금, 시중은행
신혼희망타운 모기지대출 신혼희망타운 입주 예정자 최대 4억 원 연 1.6% 20년, 30년 선택 가능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시중은행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신혼 6천만 원 이하) 수도권 2억 원, 지방 1.6억 원 연 2.3~3.3% 기본 2년 (최대 10년 연장) 주택도시기금, 시중은행
서울시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지원사업 서울시 거주 신혼부부 최대 3억 원 연 1.0~3.0% 기본 2년 (최대 10년 연장) 서울시, 협약된 시중은행

시중은행 전세대출 금리 비교 (2025년 1월 기준)

은행명 평균 금리 (%)
아이엠뱅크 2.56
카카오뱅크 3.52
부산은행 3.85
케이뱅크 3.92
토스뱅크 3.93
국민은행 3.95
기업은행 4.16
농협은행 4.18
경남은행 4.21
하나은행 4.23
우리은행 4.36
신한은행 4.43

 
 


마무리

신혼부부를 위한 대출 상품을 활용하면 주거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대출 신청 전 본인의 소득과 조건에 맞는 상품을 비교하여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각 대출 상품의 세부 조건은 은행 및 주택도시기금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앞으로도 예비 신혼부부를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